사업 목표
Business objectives집적지 소공인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현장 맞춤형 세부사업 지원으로 우수사례 배출 및 사업참여율 확산 등 대안적인 의류제조 소공인 생태계 조성에 기여
집적지 소공인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현장 맞춤형 세부사업 지원으로 우수사례 배출 및 사업참여율 확산 등 대안적인 의류제조 소공인 생태계 조성에 기여
세부사업 | 실시기간 | 사업실적 | 내용 | |
---|---|---|---|---|
기본사업 (비예산) | 생산자동화지원사업 | ‘23.03. ~ ’23.11. | 수시 | 의류제조 소공인 대상 무상 원단재단지원 |
원단 및 부자재 컨버터 지원 | ‘23.03. ~ ’24.01. | 수시 | 센터 내 원부자재 컨버터실을 구축 | |
패션 메이커스페이스 지원 | ‘23.02. ~ ’24.01. | 수시 | 소공인 상품에 온오프라인 유통플랫폼 연계 | |
유통플랫폼 마케팅지원 | ‘23.03. ~ ’24.01. | 수시 | 입점관련 협의 및 판매전략 수립 등 상품 마케팅 지원 | |
소공인 일감연계시스템 지원 | ‘23.03. ~ ’24.01. | 수시 | 공정별 의류제조 소공인 정보 제공 및 협업 지원 | |
ESG사업 경영확대 지원 | ‘23.07. ~ ’24.01. | 소공인 7명, 제품 1,207개 지원 |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류제조 소공인의 기부활동 지원 | |
소공인 협업기반 조성 | ‘23.03. ~ ‘24.01. | 수시 | 소공인 네트워킹 활성화를 통해 조직화 및 사업화 기반 마련 | |
교육 | 평면패턴 기초과정1기 | ‘23.04. ~ 05. | 교육생 10명 30H 교육 | 기초평면 패턴 실습교육 |
봉제기초과정 1기 | ‘23.05. | 교육생 10명 30H 교육 | 기초봉제 실습교육 | |
패턴CAD 기초과정1기 | ‘23.06. | 교육생 10명 30H 교육 | 자동화생산을 위한 패턴CAD프로그램 교육 | |
평면패턴 기초과정2기 | ‘23.07. | 교육생 10명 30H 교육 | 기초평면 패턴 실습교육 | |
패턴CAD 기초과정2기 | ‘23.07. ~ 08. | 교육생 10명 30H 교육 | 자동화생산을 위한 패턴CAD프로그램 교육 | |
봉제중급과정 1기 | ‘23.09. | 교육생 10명 30H 교육 | 중급봉제 실습교육 | |
스마트공방 | ‘23.05. | 교육생 15명 12H 교육 | 의류 트렌드 제품 제작 및 SNS 활용 공방 교육 | |
의복제작중급 | ‘23.06. | 교육생 10명 60H 교육 | 패턴, 봉제 등 의복제작 중급 공정기술교육 | |
의복제작실무 | ‘23.07.~ 08. | 교육생 10명 60H 교육 | 실무자를 중심으로 패턴, 봉제 등 의복제작 공정 실무기술교육 | |
의복제작기초 | ‘23.09.~ 10. | 기초패턴, 봉제 등 의복제작 기초 공정기술교육 | ||
어패럴패턴CAD기초 | ‘23.08. | 교육생 10명 60H 교육 | 자동화생산을 위한 패턴CAD 프로그램 교육 | |
어패럴패턴CAD실무 | ‘23.09. | 교육생 10명 36H 교육 | 실무자 중심의 자동화생산 패턴CAD 프로그램 교육 | |
자율 | 단체전시참여지원 | ‘23.06. ~ 12. | 16개업체 지원 | 국내 전시참여를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신규판로지원 |
미디어마케팅지원 | ‘23.04. ~ 12. | 15개업체 지원 | 상품 콘텐츠를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 마케팅지원 | |
시제품개발지원 | ‘23.03. ~ 12. | 20개업체 지원 | 시제품 개발비 지원을 통한 디자이너 및 소공인 협업지원 | |
일자리창출리빙랩 운영 | ‘23.07. ~ 24.01. | 1식 | 범일동 청년층 유입에 대한 해결방안 연구 | |
소공인 디자인 닥터운영 | ‘23.03. ~ 12. | - | 소공인 맞춤형 컨설팅을 통한 지원 강화 |
집적지구내 연령별 불균형 해소를 위한 원인분석, 가설설정, 청년이 참여하는 창업실험실 운영
온라인 플랫폼(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통한 소공인 상품에 대한 시장진출 전략, 부가가치창출, 사후관리 지원
특화센터 단체전시 브랜드(market C14)를 활용하여 오프라인 전시회(패션관련 박람회, 유동인구 밀집지역 판매전 등)에 참여하여 참여 소공인 간 협업환경지원, 공동의 부가가치 창출 지원